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자립준비 청년
- 보호종료아동: 아동복지시설, 위탁가정 등에서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가 되어 보호가 종료된 청년
- 보호가 끝난 이후 혼자서 경제적, 정서적으로 자립을 준비해야 하는 청년
맞춤형 지원의 주요 내용
1. 💰 경제적 지원
- 자립수당 지급: 월 40만 원(2023년 기준)을 만 18세부터 24세까지 최대 60개월간 지급
- 자산형성 지원: 디딤씨앗통장 운영, 자립정착금(시설 퇴소 시 일시금) 등
- 공공임대주택 우선 제공: 청년 전세임대, 매입임대 등 주거 안정화
2. 🏠 주거 지원
- 자립지원 전담요원 연계: 주거지 알선, 계약 지원 등 실질적 도움
- 주거비 지원: 월세 일부 지원 및 주거 환경 개선 비용 지원
3. 📚 교육 및 취업 지원
- 직업훈련, 진로상담: 취업 역량 강화 교육, 멘토링 제공
- 학업지원: 대학 진학 시 장학금, 학자금 대출 등 지원
- 맞춤형 일자리 연계: 지역 사회 일자리 정보 제공, 자립지원센터를 통한 취업 정보 제공
4. 🧠 정서·심리 지원
- 심리 상담 및 치료 지원: 트라우마, 외로움, 불안감 해소를 위한 전문 상담
- 멘토링 프로그램: 선배 자립청년 또는 전문가 멘토와의 정기적인 교류
- 지역사회 연계 활동: 문화·예술·봉사활동 등을 통한 사회 적응력 향상
운영 기관 및 접근 방법
- 지자체 자립지원전담기관 또는 청년자립지원센터에서 서비스 제공
- 복지로, 보건복지상담센터(129), 또는 해당 지자체 복지과에 문의 가능
이런 청년들에게 특히 유용해요!
- 보호종료 이후 경제적·정서적으로 막막한 청년
- 사회 초년생으로 자립 기반이 부족한 청년
- 지지체계(가족, 친구 등)가 없는 청년ㅇㅇ
자립준비 청년 맞춤형 지원대상
보호 종료 청년:
가정위탁 또는 아동복지시설에서 보호받다가 만 18세 이후 보호가 종료된 청년.
원가정으로 복귀하지 못한 경우, 만 24세까지 보호 연장이 가능함.
자립준비 청년:
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 종료 후 5년 이내의 청년.
아동복지법에 따라 보호 종료 후 자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음
자립준비 청년 맞춤형 지원내용
자립정착금
자립준비 청년에게는 1,000만 원 이상의 자립정착금이 지원됨.
대학 기회균형선발
대학 진학 시 기회균형선발 대상이 되어 추가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음
반응형